{Programing}(131)
-
HTML - table, image, list, form, input
table : 표 작성 태그. 하위 태그로 thead, tbody, tfoot, tr, td 이 존재. thead : 표의 머리글 부분. 생략가능. tbody : 표의 본문내용. tfoot : 표의 바닥글 내용. 위 3개 태그는 생략가능. tr : 표의 행을 구분하는 태그. td : 행의 각 요소를 표현하는 태그. 여기에 각 요소의 값이 작성되어야한다. image img : 이미지 삽입용 태그. 속성으로 경로, 높이, 너비, 이미지 누락시 경고, 주석 이 있음. src, height, width, alt, title list : 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태그들. ol : 정렬된 리스트 라는 의미로 순서가 있는 리스트를 의미. 숫자 자동생성됨. ul : 정렬되지 않은 리스트 li : 리스트 요소를 의미. o..
2021.04.21 -
Unity - 모바일 해상도 고정 대응.
Screen.SetResolution( width, Height, fullscreen) 으로 픽셀 해상도 고정 가능. 풀스크린 모드의 차이는 true 일때 화면 아래에 나오는 뒤로가기 홈버튼 이 나오지 않고 false일 때는 표시함. void ResolutionFix() { float targetWidthAps = 16.0f; float targetHeightAps = 9.0f; Camera.main.aspect = targetWidthAps / targetHeightAps; float widthRatio = (float)Screen.width / targetWidthAps; float heightRatio = (float)Screen.height / targetHeightAps; float widtha..
2020.06.12 -
Unity - Particle
particle system 속성 Duration : 파티클이 플레이 되는 시간. Looping : 반복할지 선택. Play On Awake : 인스턴스 화 되면 재생 할건지. Stop Action : 재생이 멈추면 어떻게 할건지. - 무동작, 비활성화, 파괴, 콜백함수 날리기. 일단 요정도만 알아도 테스트에는 문제 없음.
2020.06.12 -
Unity - GameObject Find
활성 상태인 GameObject는 GameObject.Find("오브젝트명"); 으로 검색 가능. 찾아서 GameObject 객체에 담으면 됨. 비활성 상태인 GameObject 는 상위 객체를 찾은 뒤, GameObject.Find("상위오브젝트명").transform.FindChild("하위 오브젝트 명"); 으로 찾을수 있다.
2020.06.09 -
Unity - 매니저 클래스를 위한 singleton
public class GameManager : MonoBehaviour { public static GameManager instance; public int level; void Awake () { instance = this; } } static 객체를 선언하고 awake함수에서 this로 할당해주면 바로 singleton이 됨. instance 는 항상 public이어야만 한다. 씬 내에 하나만 존재해야만 하는 객체를 singleton으로 선언한다.
2020.06.09 -
Unity - Scene Change
using UnityEngine.SceneManagement; 추가. --필요한 입력에 따라 SceneManager.LoadScene("씬이름"); 씬이름은 에디터 빌드 세팅에 추가된것만 가능. 씬 전환시 유지되야할 오브젝트를 위한 함수. DontDestroyOnLoad(gameObject); 여기서 gameObject는 유지되어야 할 오브젝트의 객체임. 필요한 객체의 스크립트에서 선언하면 됨. 매니저 객체나 온라인게임의 경우 로그인한 유저의 정보를 저장할 객체가 선언해야하는 경우. 주의점. 유지할 오브젝트는 항상 최상위 객체 여야한다. 부모오브젝트가 존재하면 부모 파괴시에 무시되어버리면서 같이 파괴됨.
2020.06.09